다들 안녕하세요! '해외주식 시작하기' 시리즈의 두 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해외주식 시장이 언제 개장되는지, 해외주식 거래에 대한 세금인 양도세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볼 거에요.
이번 시간에 같이 공부할 내용은 어떻게 보면 해외주식을 하는데 있어서 굉장히 필수적으로 알아야 되는 부분이 아닐까 해요.
그도 그럴 것이 해외의 주식시장이 언제 열리는지를 알아야 그 시간에 맞춰서 거래를 할 수 있고, 해외주식으로 수익이 났다면 자진신고를 하고 세금을 납부해야하기 때문에 세율과 납부기한 등이 어떻게 정해져 있는지를 알아야 세금을 낼 수 있기 때문이죠.
이런 부분에 대한 내용을 이번 포스팅에서 다뤄보고자 하니 우리 함께 배워가도록 해요!
★전편이 궁금하다면?
https://icelaser.tistory.com/223
해외주식 시작하기 - 계좌 개설, 수수료
안녕하세요! 이번에 새로 시작할 포스팅은 '해외주식 시작하기' 시리즈입니다. 주식은 이미 예전부터 사람들의 관심과 열기가 뜨거워지고 있는 분야고, 이제는 국내주식 뿐만 아
icelaser.tistory.com
해외주식 시작하기 - 해외주식 거래 시간, 양도세
1. 해외주식 거래 시간(국가별 증시 개장시간)
우리나라의 주식 거래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 30분 까지인데, 과연 다른 나라의 주식 거래 시간은 몇 시부터 몇 시까지일까요?
미국
현지시간 - 09:30~16:00 / 한국시간 - 23:30~06:00 (서머타임 - 22:30~05:00)
미국(ECN)
현지시간 - 07:00~20:00 / 한국시간 - 21:00~10:00 (서머타임 - 20:00~09:00)
미국(CME-RTH)
현지시간 - 08:30~15:15 / 한국시간 - 23:30~06:15 (서머타임 - 22:30~05:15)
미국(CME-Globex)
현지시간 - 15:30~08:15 / 한국시간 - 06:30~23:15 (서머타임 - 05:30~22:15)
호주
현지시간 - 10:00~16:00 / 한국시간 - 09:00~15:00 (서머타임 - 08:00~14:00)
일본
현지시간 - 09:00~11:30, 12:30~15:00 / 한국시간 - 09:00~11:30, 12:30~15:00
대만
현지시간 - 09:00~13:30 / 한국시간 - 10:00~14:30
중국(상해)
현지시간 - 09:30~11:30, 13:00~15:00 / 한국시간 - 10:30~12:30, 14:00~16:00
홍콩
현지시간 - 09:30~12:00, 13:00~16:00 / 한국시간 - 10:30~13:00, 14:00~17:00
캐나다
현지시간 - 09:30~16:00 / 한국시간 - 23:30~06:00 (서머타임 - 22:30~05:00)
영국
현지시간 - 08:00~16:30 / 한국시간 - 17:00~01:30 (서머타임 - 16:00~00:30)
러시아
현지시간 - 10:00~18:45 / 한국시간 - 16:00~00:45 (서머타임 - 15:00~23:45)
프랑스
현지시간 - 09:00~17:30 / 한국시간 - 17:00~01:30 (서머타임 - 16:00~00:30)
독일
현지시간 - 09:00~17:30 / 한국시간 - 17:00~01:30 (서머타임 - 16:00~00:30)
서머타임(DST)이란, 여름철에 표준시간보다 시계를 1시간 앞당겨 높는 제도라고 하네요.
각 나라별 서머타임 적용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미국, 캐나다 : 매년 3월 둘째 주 일요일 ~ 11월 첫째 주 일요일
유럽 : 매년 3월 마지막 주 일요일 ~ 10월 마지막 주 일요일
멕시코 : 매년 4월 첫째 주 일요일 ~ 10월 마지막 주 일요일
이런 식으로 각 나라마다 주식 개장 시간이 다른데, 미국의 경우에는 시차 때문에 예약 주문이 가능하기도 해요.
개장 전에 원하는 수량과 가격을 입력하고 예약을 걸어놓으면 개장 후에 그대로 거래가 되는 방식이라 국내 주식처럼 실시간 대응을 하기가 어려워서 이런 식으로 해외주식에 투자를 할 때는 단기 투자보다는 장기 투자를 하는 편이 좀 더 낫겠죠?
해외주식을 할 때 개장시간과 더불어서 또 한가지 주의해야 할 점은, 해외주식은 보통 15분에서 20분 정도 지연된 시간의 시세가 나온다는 점이에요.
국내 증권사가 운영하는 앱을 통해 보고 있는 주식 종목의 가격이 15분 이전의 가격이기 떄문에 아무래도 실시간 거래를 하기는 어렵겠죠?
다만 증권사의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면 실시간으로 해외주식 가격을 볼 수도 있다고 하네요.
2. 양도세
해외주식으로 수익이 났다면 자진신고를 하고 세금을 내야 하는데, 이 세금이 양도세입니다.
1년간의 총 수익과 손해를 합쳐서 실질적인 수익이 250만원 이상이라면 지방소득세를 포함한 해외주식 양도세로 250만원을 넘는 금액에 대해서 세금이 22%가 부과되죠.
왜 250만원을 넘는 금액에 대해서만 양도세가 부과되냐면, 해외주식의 경우 250만원까지는 기본적으로 공제가 되기 때문이죠.
이 세금은 단일 세율이고 근로소득과는 상관이 없어요.
예를 들어 한 증권사에서 수익이 500만원, 다른 증권사에서 손실이 400만원 났다면 총 손익은 100만원이므로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죠.
또 4개의 증권사에서 수익만 100만원씩 났다면 총 손익은 400만원이므로 400만원에서 250만원을 뺀 150만원 만큼에 대해서만 22%의 양도세가 부과됩니다.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아요.
A 증권사 수익 200만원, B 증권사 수익 50만원
총 손익 +250만원, 기본공제 250만원
->250-250 = 0, 0원에 대해 양도세 부과, 즉 세금 없음.
A증권사 수익 200만원, B 증권사 수익 200만원
총 손익 +400만원, 기본공제 250만원
->400-250 = 150, 150만원에 대해서 양도세 부과
추가로, 양도세는 신고 납부기한이 5개월이고 미납시 1일당 0.025%의 가산세가 붙게 되니 기간 내에 세금을 납부하는게 중요하겠죠?
일부 증권사에서는 해외주식 투자에 대한 양도세 신고를 대행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하니 만약 본인이 과정이 어렵고 복잡해서 자진신고를 하는게 어렵다고 생각된다면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권사에 문의를 해보는게 좋을 거라고 하네요.
오늘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다들 도움이 조금은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전에도 말했다시피 저는 해외주식을 잘 모르고 이제 막 입문을 시작한 관계로 다른 전문가 블로거나 유튜버 분들처럼 해외주식에 대한 핵심적인 지식을 알려드리기는 어려워요.
하지만 꼭 제가 잘 아는 분야가 아니더라도 하나씩 배우면서 그 내용을 같이 공유하고 함께 알아가는 그런 포스팅을 쓰고 싶어서 이렇게 '해외주식 시작하기' 시리즈를 시작하게 되었죠.
아무튼 우리 함께 차근차근 배워가며 해외주식으로 수익을 낼 수 있도록 노력해요!
'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주식 시작하기 - 계좌 개설, 수수료 (2) | 2021.08.16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