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워드프레스 사이트 만들기' 시리즈의 2편으로 돌아온 극한의 리뷰에요.
지난 포스팅에서 도메인 등록과 호스팅 신청을 하고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개설하는 것까지 설명했고 이번 시간에는 개설한 워드프레스 사이트 설치화면에서 관리자를 등록하는 법과 관리자 페이지 접속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해요.
저도 막 배우고 있는 단계인 만큼 하나하나 같이 해보면서 익혀봐요!
●'워드프레스 사이트 만들기' 이전 편 보러가기
2022.01.01 - [워드프레스] - 워드프레스 사이트 만들기 - 1. 도메인 생성과 호스팅
워드프레스 사이트 만들기 - 2. 관리자 페이지 접속 및 설정
1. 관리자 만들기
도메인 등록과 워드프레스 호스팅 신청을 해서 사이트 개설을 했다면 우선 초기 설치화면에서 관리자 만들기 과정을 거쳐야 해요.
우선 자신의 워드프레스 사이트 관리자 페이지로 이동을 해야 하는데, 주소는 다음과 같아요.
http://OOOO(사이트 주소).com/wp-admin/
만약 자신의 워드프레스 사이트 주소가 'OOOO.com'이라면 이걸 치면 겉으로 보이는 워드프레스 사이트로 접속하는 거고, 뒤에 '/wp-admin/'을 붙여서 접속한다면 워드프레스 사이트의 관리자 페이지로 접속하는 거지요.
자신의 워드프레스 사이트가 최초설치를 해야한다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와요.
여기에서 사이트 제목, 사용자명(관리자 ID), 암호,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참고로 밑에 있는 '검색 엔진 접근 여부'에서 체크박스를 체크하면 절대 안되요!
특정 회원에게만 개방할 목적으로 개설한 사이트가 아닌 이상 검색 엔진이 본인의 사이트를 검색해야 사람들이 유입이 될 수 있으니까요.
여기서 설정한 정보는 나중에 변경이 가능하니까 임시로 만들어도 괜찮지만 보다 원활한 접속을 위해 사용자명과 암호는 본인이 기억하기 쉬운걸로 설정을 하는게 좋겠죠?
최초 설정이 끝났으면 이제 아까 설정한 관리자명과 암호를 입력해서 로그인을 하면 되요.
2. 관리자 페이지
관리자 ID로 로그인을 했다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와요.
각 메뉴가 어떤 기능을 갖고 있는지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죠.
◆알림판(Dashboard)
사이트 현황(페이지, 포스트, 코멘트)과 최근 활동 기록, 사이트 건강 상태, 워드프레스 이벤트와 뉴스등을 보여주는 메인 화면
◆글(Post)
새로운 글(포스트)를 작성하거나 작성된 포스트들을 수정, 삭제할 수 있는 메뉴. 카테고리, 태그 등 추가 가능
◆미디어(Media)
라이브러리에 이미지나 문서, 동영상 등의 미디어 파일을 업로드 하고 관리할 수 있는 메뉴
◆페이지(Page)
항상 노출되는 글들을 관리하는 메뉴
◆외모(Apperance)
사이트를 꾸미는 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메뉴. 테마, 위젯, 메뉴 등의 설정과 편집이 가능
◆플러그인(Plugins)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처럼 워드프레스의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플러그인을 간단하게 적용해서 쓸 수 있는 메뉴.
◆사용자(Users)
워드프레스 사이트의 사용자를 관리하는 메뉴. 사용자 추가와 역할 변경 등의 기능을 제공
◆도구(Tools)
블로그나 텀블러 등에서 글을 가져올 수 있고 본인의 글을 내보낼 수도 있는 메뉴. 사이트 건강상태도 확인 가능
◆설정(Settings)
워드프레스 사이트의 기본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메뉴. 일반 설정, 쓰기 설정, 읽기 설정, 미디어 설정 등이 가능
여기까지 관리자 페이지의 각 메뉴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이제 관리자 페이지의 간단한 초기 설정에 대해 해보려고 해요.
3. 사용자(Users) 설정
맨 처음에 본인이 설정한 사용자 정보를 변경하고 싶다면, '사용자' 메뉴에서 변경이 가능해요.
'사용자 -> 프로필' 순서로 들어가면 사용자의 이름, 별명, 이메일, 자기 소개 등을 변경할 수 있는 페이지가 나오죠.
여기서 본인이 원하는대로 사용자 프로필을 설정하고 맨 아래에 있는 '프로필 업데이트'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4. 일반 설정
여기서는 워드프레스 사이트의 제목과 태그라인, 언어, 날짜 표시 형식 등을 변경할 수 있어요.
그리고 설정(Settings) 메뉴 하위 항목에서 '고유주소' 항목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죠.
여기서는 자신이 올린 포스팅의 주소(URL)을 어떤 식으로 설정할 것인지 정할 수 있는데, 제일 구글 검색 엔진이 최적화하기 쉬운 '글 이름'으로 변경하는게 적당해요.
5. 알림판(Dashboard) 설정
마지막으로 관리자 페이지의 첫 화면인 알림판의 설정을 변경해볼게요.
우선 우리는 방금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개설했으니 별다른 설정 없이 관리자 페이지에 방문하게 되는 상태에요.
그렇다보니 사이트 건강 상태, 사이트 현황, 활동 이력, 워드프레스 이벤트와 뉴스 등 갑자기 '이건 다 뭐지?'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여러가지 화면 구성요소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죠.
이 화면 구성요소들을 좀 정리하고 싶다면 아래 사진에 있는 화면옵션을 클릭하면 됩니다.
관리자 페이지의 홈 화면 상태에서 우측 상단을 보면 '화면 옵션'과 '도움말'이 있는데, 그중 '화면 옵션'을 클릭하면 사진처럼 아래로 화면 구성요소를 설정할 수 있는 창이 내려오죠.
여기에서 저는 임시로 전부 체크박스를 해제해볼게요.
자, 체크박스를 전부 해제했더니 싹 비워졌죠?
이런 식으로 '화면 옵션' 창에서 본인이 알림판 화면에서 보고 싶은 화면 구성요소만 남길 수 있어요.
또한 이런 식으로 화면 구성요소 박스를 움직여서 본인이 원하는 식으로 세팅을 할 수도 있죠.
여기까지 해서 '워드프레스 사이트 만들기' 시리즈의 2편이 끝났어요.
오늘 저와 같이 배워본 내용은 관리자 페이지에서 여러가지 기본 설정을 본인에게 맞게 세팅하는 부분이었는데, 막상 따라해보면 처음에 워드프레스에 대해 느꼈던 것과는 달리 비교적 할만하다는 생각이 들었을 거에요.
다음 시간에도 우리 같이 워드프레스에 대해 하나하나 배워가요!
'워드프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드프레스 사이트 만들기 - 1. 도메인 생성과 호스팅 (0) | 2022.01.01 |
---|---|
워드프레스 사이트 만들기 - 0. 개요 (0) | 2022.01.01 |
댓글